본문 바로가기
다 해보기/결혼생활

시험관 아기준비- 보건소 무료 산전검사 받기 및 난임 병원 결정

by 다해바쥬 2025. 2. 2.
반응형

 

 

 

결혼 1주년을 기점으로

우리는 2세 준비를 하기로 결정했다.

 

둘다 적은 나이가 아니고, 결혼을 결심한 순간부터 2세에 대한 생각이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결혼 후 6개월 뒤 바로 '보건소 산전검사'를 신청해서 사전 검사를 진행했다.

 

일반 병원에서도 가능하지만

보건소에서 진행하면 '무료' 이기 때문이다.

 

나는 24년에 받아서 당시에는 여자는 보건소 검사, 남자는 비뇨기과 의뢰검사로 진행했었다.

근데 25년부터는 '실비지원'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임신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이라는 명칭이다.

 

사실 여성의 경우 보건소는 너무 기본검사만 있고 부인과 초음파가 없었어서 별로였는데

실비 지원이라 일반 부인과에서 받을 수 있어서 더 좋아진 정책 같다!!!

 

 

25년 기준 정부 무료 산전검사 안내 (중구보건소 기준)

 

1) 보건소 산전검사 신청방법

 

① 해당지역 확인 (수도권 기준)

- 거주지 관할 보건소 : 본인 주민등록 기준 지역의 보건소

- 직장 주소지 관할 보건소 : 본인이 근무하고 있는 회사가 있는 지역의 보건소

 

직장인 기준으로 두 곳에서 가능하다.

근데 사실 선택할 수가 없다. 경쟁률이 박터지기 때문이다.

나는 우리가 가능한 시간으로 가장 빨리 되는 곳으로 예약했다.

단. 직장주소지 관할 보건소로 하면 직장 주소가 적혀있는 '재직증명서'가 필요하다.

 

 

② 지원사업 신청하기

e보건소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하거나

오프라인으로 직접 해당 보건소에 방문해서 신청해도 된다.

해당 보건소에 전화하면 친절하게 알려주시니 전화해 보는것도 추천한다!

 

▶ e보건소 홈페이지 바로가기 (클릭)

 

※ 지원 대상자 : 모든 20~49세 남녀 중 희망자 (결혼 및 자녀여부 불문)

 

※ 지원 기간 : 나이 주기별 1회, 최대 3회 지원 (29세 이하 1회/ 30~34세 1회/ 35~49세 1회)

 

 

③ 검진 받기

검진항목은 여성은 '난소기능검사 AMH", 부인과 초음파 (자궁, 난소 등)

남성은 정액검사 (정자정밀형태검사) 이다.

 

검사 지원비는 여성 최대 13만원, 남성 최대 5만원이다.

 

예약하고 승인받으면 각 병원에 가서 검사를 진행한 후 1개월이내에 실비를 청구하면 지원받을 수 있다.

 

산전검사비 지원 신청 순서

 

 

③ 실비 청구하기

진료비를 받고 난 뒤 실비를 청구하면 되는데 챙겨야할 서류는 아래와 같다.

병원에서 꼭 받아오시길 추천한다 :)

 

※ 챙겨야할 서류

  1. 청구서

  2. 외래진료비 계산서 영수증

  3. 진료비 세부산정내역

  4. 본인명의의 통장사본

 

제출 방법은 관할 보건소를 방문하거나 (배우자 대리 가능), e보건소를 통해 온라인 제출하면 된다.

 

너무 간편해지고 오히려 더 유용해진 보건소 산전검사 정책을 꼭 활용하는걸 추천한다.

 

 

 

 

AMH 결과표

 

 

나는 24년이라 보건소에서 흉부검사/ 피검사를 했다.

혈액검사를 하면 갑상선 기능, 항체 유무 등이 나오는데 모두 정상

난소기능검사(AMH) 는 원래 다낭성이 있어서 조금 높게나왔지만 정상인 수치였다.

일반적으로 30~34세는 2.81이 평균값이라고 한다.

 

 

남편은 가까운 비뇨기과에 방문하여 정액검사를 했고

검사후 바로 결과를 알려주었다.

 

 

.

.

.

.

 

 

 

이렇게 임신준비에 들어가기 전 필수로 해야하는 무료검사들을 마치고

그로부터 약 1년뒤

난임병원에 방문하여 시험관 시술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이유는 산전검사 후 약 6개월이 결혼 1주년 시점이었는데

이때 자연임신을 준비하면서 먹었던 약이 나에게 맞지 않아서

생리불순이 오게 되었고

3개월, 2개월씩 계속 생리가 미뤄지게 되어서

 

계획으로는 24년 하반기 임신성공이었으나

호르몬 불균형으로 24년 연말이 되어버려서

시간을 지체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바로 산부인과가 아닌 난임병원을 바로 찾게 되었다.

 

 

 

난임병원 결정방법?

메이저 병원 VS 동네 병원

 

- 메이저 : 장점 체계적 (어플 보유로 배아 개수 등 볼 수 있음), 단점 공장식 (대기시간 김)

- 동네 병원 : 장점 가까움 (일주일에 몇번씩 진료를 봐야하는 경우 너무편함), 단점 비체계적 (내가 조금더 질문해야함)

 

난임 병원으로 유명한 곳들이 있다 ㅊ병원, ㅁㄹㅇ 등등 분원도 많고 

큰 규모를 갖추고 있는 곳들이다.

 

나도 메이저 병원을 갈까 고민했지만

결국에는 지인추천으로 ㅅㄹㅇㅇ 병원으로 선택하게 되었다.

오직 원장님만을 보고 선택한 곳이라 믿고 맡기기로 했다.

시험관 시술에서는 손기술이 중요한데 지인이 원장님은 알아주는 '대가'이시라고 강추했었다.

 

사실 시험관을 갑자기 결정하게 된거라

정보도 없고 방법도 전혀 모르는 1인이었다.

 

갔더니 나만 아무것도 모르고 남들은 척척 다 따라 하는것 같은 기분도 들었다

여러 용어를 말씀해 주시는데 하나도 못알아 들었다..

그리고 메이저 병원들 보다는 규모가 작아서 조금 체계적이지 않다는 느낌을 받기도 했지만

오히려 대기시간도 없고 한명 한명 더 잘 봐주시는 느낌이라 나는 만족하는 중이다

 

 

 

 

첫 검진 이후 부랴부랴 유튜브로 시험관에 대해 공부했고 지금은 1차 진행중이라 이제는 잘 알고 따르는 중이다

앞으로 시험관 아기 시술 진행 과정에 대해 자세하게 적어보겠다! 

반응형